Unity/내장함수 - Components

Unity android build (2019)

almond.s 2023. 3. 7. 11:56
반응형
SMALL

유니티를 이용해 안드로이드를 빌드하려면 프로젝트의 플랫폼을 바꾸어 주어야 한다

File -> Build Settings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나오는데

그림에서 유니티 로고모양이 위치한 플랫폼이 프로젝트의 현재 플랫폼에 해당하는데

처음에는 PC에 위치하고 있다 그래서 안드로이드를 눌러주고

왼쪽 하단에 있는 Switch Platform을 눌러주면 프로젝트의 플랫폼이 안드로이드로 바뀌게 된다

그 다음에는 안드로이드 빌드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받아야 하는데

Edit -> Preferences 를 누르고 External Tools를 누르면 아래 창이 나온다

이전에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등으로 빌드를 했다면 Browse를 누르면 유니티에서 설치경로를 잡아준다

설치한 적이 없다면 Browse옆의 Download를 누르면 다운로드 링크가 나오게 된다

 

SDK는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JDK는 자바 다운로드 링크로 연결되어있다

SDK / JDK가 연결이 되었다면 플레이어 세팅을 볼 필요가 있다

진입 방법은 이전 빌드세팅 메뉴의 Switch Platform 옆 Player Setting 버튼을 누르거나

Edit -> Project Settings -> Player로 진입을 하면 된다

진입 후 Other Setting 몇개를 바꾸어 주어야 하는데

먼저 Package Name 부분은

com.(회사이름).(프로그램이름)으로 정해준다

(이 부분이 고유한 이름이어야 하기 떄문에 디폴트 값으로 놓으면 빌드에러가 난다)

버전 부분은 자신이 원하는 버전으로 해주면 된다

중요한게 Minimum / Target API Level 부분인데

각각 최소 / 타겟 API를 뜻하기 때문에 이에 맞는 SDK를 깔아주어야 한다

(테스트를 할 MEMU플레이어가 5.1이기에 5.0으로 설정)

다음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설정인데

시작화면에서 톱니 모양 옆

새로운 프로젝트를 만들 필요없이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켜면 나오는 Configure -> SDK Manager로 진입을 한다

진입을 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나오는데

기본 화면은 SDK의 플랫폼 창으로 안드로이드 버전에 해당한다

이전 유니티 설정에서 최소 / 타겟 API 레벨에 맞게 SDK를 깔아준다

(최소 / 타겟 API을 롤리팝(API Level 21)으로 했기 때문에 5.0 부터 받아준다)

그 다음은 SDK Tools로 이동해 설정을 하는데

먼저 Show Package Details를 눌러주면 각 버전당 개발자 툴이 나오게 된다

위 SDK 플랫폼에서 설정한 API래벨에 해당하는 툴을 클릭해주고 OK를 누르면 설치가 진행된다

반응형
LIST